테이블의 레코드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TTL 사용시, TTL값이 적당한지 확인
->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충분한 값인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긴 시간 데이터를 보유할 필요 없음.
TTL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옵션 유효화
-> 수동으로 레코드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DynamoDB를 사용 중 이라면 수동 삭제시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 유의.
-> TTL에 의한 삭제시 비용 발생하지 않음.
백업 관련
PITR(Point In Time Recovery) 옵션에 대해
-> 35일간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옵션. 해당 기간 중 어느 시점으로든지 복원 가능하게 함.
-> 당연히 비용 발생하는 옵션.
PITR 유효/무효화 고려 사항
- 데이터의 성격이 어떠한가? 절대적으로 저장되야하는 것인지 캐시 성격의 데이터인지 판단. 데이터 유실 시 비지니스에 미치는 영향등을 고려해야함.
- 본 옵션을 사용하면 장애시 복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엄격한 SLA, SLO를 제공하는 서비스라면 PITR 옵션을 사용하여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PITR의 대안
-> On Demand 백업을 통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각 테이블의 데이터를 S3 등에 저장할 수 있다.
https://docs.aws.amazon.com/amazondynamodb/latest/developerguide/backuprestore_HowItWorksAWS.html
https://docs.aws.amazon.com/amazondynamodb/latest/developerguide/backuprestore_HowItWorks.html
Read/Write Capacity AutoScaling Target 관련
-> Provisioned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적절한 값을 설정하여 낭비없이 사용.
-> Throttling이 발생하지 않는 선으로 Capacity 유지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Terraform Tips] elasticache redis cluster transit_encryption_enabled(tls) 옵션 변경 시 서비스 중단에 대해 (0) | 2023.05.19 |
---|---|
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 Professional 취득 후기 (0) | 2023.03.15 |
AWS - DynamoDB PITR 옵션 관련 (0) | 2023.03.15 |
AWS Lambda IP 확인하는 방법 - 외부 서비스 ACL 관련 (0) | 2023.02.27 |
2023 AWS Gameday in Tokyo 후기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