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ubernetes

(3)
Kubernetes Namespace 설계에 관해 클러스터 구성 후 실제 사용에 들어가기 전 네임스페이스를 설계해야 하는데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할지 적어본다. 네임스페이스 이름에 환경을 넣어야하는가? 네임스페이스는 어떠한 단위로 나눠야 좋을까? 네임스페이스 이름에 환경을 넣어야하는가? Yes, 실수 방지를 위해 넣는편이 좋다고 생각함. 클러스터를 구분한다고 하더라도 네임스페이스 이름에 환경을 넣어 다시 한 번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쿠버네티스 사용 시 자신도 모르는 사이 혹은 알면서도 프로덕션 환경에서 작업 혹은 테스트를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네임스페이스에 환경을 넣어 모르고 실수 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굳이 단점을 뽑자면 Manifest 파일 내에 각 환경을 변수처리하여 네임스페이스 뒤에 붙여주는 수고로움이 있다는 점. 네임스페..
Helm(헬름) - 배포판, 로컬 비교하기, diff, values, manifest 환경(자주 배포 안하는)에 따라 최신 차트와 현재 배포된 차트의 버전이 차이가 많이 나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 경우 코드만 비교해 보는 것 만으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가늠이 잘 안가서 Manifest를 가져와서 확인하는 편이 안심이 되기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 보았다. 시나리오 0. 헬름 리비전 간 비교 시 helm diff : Preview helm upgrade as a coloured diff https://github.com/databus23/helm-diff - 최신 REVISION과 특정 REVISION 비교 $ helm diff revision [flags] RELEASE REVISION1 Example: $ helm diff revision my-release 2 - REV..
CKA 취득 후기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리눅스 재단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으로 시험 내용은 주로 쿠버네티스 전반 지식 및 운영에 관한 지식을 대상으로 출제된다. 취득 당시 재직중이던 회사에서 비용을 전액 지원해주기에 부담없이 응시해서 취득할 수 있었다. 2020년부터 쿠버네티스를 현업에서 사용했었기에 시험 준비에 많은 시간이 필요치는 않았다. 다만 직장에서는 개발자 및 데브옵스로서 사용했었기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대한 지식은 없었다. 컨트롤 플레인 관련된 부분에 대해선 무지했기에 kubelet, etcd 백업 및 복원 등 다양한 개념을 공부하고 실습하는 것으로 시험 준비를 했었다. 모의시험 위 사이트에서 모의 시험을 수차례 풀어본 것이 시험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 지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