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 썸네일형 리스트형 KANS 2주차 - kind 활용 실습 KIND란?KIND (Kubernetes IN Docker)는 Docker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로컬 Kubernetes 클러스터를 실행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주로 Kubernetes 자체 테스트 및 로컬 개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주요 특징:빠른 설치: Docker만 있으면 쉽게 설치 가능경량화: 리소스 사용이 적어 개발 머신에 적합다중 노드 지원: 여러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 생성 가능구성 가능성: YAML 파일을 통해 클러스터 구성 커스터마이징 가능CI/CD 통합: 지속적 통합 및 배포 파이프라인에 사용 가능크로스 플랫폼: Linux, macOS, Windows에서 작동# KIND 클러스터 생성kind create cluster# 클러스터 삭제kind delete cluster 굉장히 간단합니다. D.. KANS 2주차 - K8S Flannel CNI & PAUSE 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예전부터 CNI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 것일까하고 궁금했던 적은 있지만 굳이 알아보지 않았다.일단 이번 스터디를 통해 이것을 알게 되어 좋았다. 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가 뭐야?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는 컨테이너 런타임 환경과 네트워크 플러그인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규격입니다. 이는 컨테이너 네트워킹을 더욱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게 만듭니다. 컨테이너 네트워킹? 그게 뭐지? 컨테이너 네트워킹은 여러 대상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주요 통신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컨테이너 간 통신:같은 호스트 내의 다른 컨테이너들다른 호스트에 있는 컨테이너들호스트와의 통신:컨테이너가 실행 중인.. KANS 1주차 - 컨테이너 격리 & 네트워크 보안 학습 환경 구축 및 접속Image : ubuntu 22.04machine type : t3.small 도커 설치 및 확인# [터미널1] 관리자 전환sudo su -# 도커 설치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h# 도커 정보 확인 : Client 와 Server , Storage Driver(overlay2), Cgroup Version(2), Default Runtime(runc)docker infodocker version# 도커 서비스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docker -l --no-pager위 명령어로 간단히 도커를 설치 할 수 있다. 도커 데몬이 Unix socket에 바인딩 되어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 해당 Unix socket.. DynamoDB 비용 최적화 테이블의 레코드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TTL 사용시, TTL값이 적당한지 확인 ->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충분한 값인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긴 시간 데이터를 보유할 필요 없음. TTL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옵션 유효화 -> 수동으로 레코드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DynamoDB를 사용 중 이라면 수동 삭제시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 유의. -> TTL에 의한 삭제시 비용 발생하지 않음. 백업 관련 PITR(Point In Time Recovery) 옵션에 대해 -> 35일간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옵션. 해당 기간 중 어느 시점으로든지 복원 가능하게 함. -> 당연히 비용 발생하는 옵션. PITR 유효/무효화 고려 사항 - 데이터의 성격이 어떠한가? 절대적으로 저장되야하는 것인지 캐시 성격의 데이터인지 .. 2023/06/09 - first group lesson Head first When you say something in English, give the main meassage first and explain why. Listen and Repeat like a child. 상대방에게 턴을 넘길 때 Over to you . / Take it away . 상대방에게 의견 물어 볼 때 What's your take on this? = What's your opinion on this? How do you feel about this? What's your take on the third quote? Japanese Japanese Homework 1. Shadowing 10 minutes a day (use the textbook) 2. Watch Dragon.. [AWS, Terraform Tips] elasticache redis cluster transit_encryption_enabled(tls) 옵션 변경 시 서비스 중단에 대해 AWS 콘솔 상에서 변경 시 위 화면에서 '전송 중 암호화' 를 체크한 후 다음으로 넘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수정 예약 탭 아래 '즉시 적용' 옵션에 '예'가 선택돼 있는 상태로 '수정' 버튼을 누르면 해당 클러스터의 상태가 Modifying으로 변경된다. 즉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본 클러스터 이용 중인 타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시 적용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지 관리 시간에 자동으로 업그레이드가 된다. 테라폼을 통해 transit_encryption_enabled 옵션을 변경하는 경우 클러스터 재작성 여부에 대해 경고 문구가 나오지 않고, 레디스 클러스터 삭제 후 생성을 하기 때문에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시간도 오래걸린다) 그렇기 때문에 한 번 생성된 레디스 클.. AWS - Planning and Designing Databases on AWS (0) 후기 및 정리 수업 개요 공식 홈페이지 - https://aws.amazon.com/ko/training/classroom/planning-and-designing-databases-on-aws/ 아쉽게도 현재 한국어로 수강할 수 있는 수업은 없다. 비용은 21만엔 (하루 7시간 * 3일) 온라인으로 수강함. 본 수업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다룬다. 1. Database Concepts and General Guidelines 2. Database Planning and Design 3. Databases on Amazon EC2 4. Purpose-Built Databases 5. RDS 6. Aurora 7. Document DB 8. DynamoDB 9. Neptune 10. QLDB 11. Elasticache .. 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 Professional 취득 후기 2023/03/06 - 860점 합격 😎 (합격 기준 750점) 시험 준비 취득 후기 블로그 게시물 읽기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읽어보면 좋다. 출제 경향 및 사람들이 어떤 부분을 어렵게 느끼는지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강의를 알 수 있다. Udemy 강의 (합계 약 40,000원 ) 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Professional 2023 - Hands On! : 20.5시간 Practice Exam | 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Professional : 85(75 + 10)문제 AWS 공식 자료 및 강의 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 Professional Official Prac.. AWS - DynamoDB PITR 옵션 관련 DynamoDB PITR(Point In Time Recovery)이란? 공식 문서 : https://aws.amazon.com/ko/dynamodb/pitr/ 백업에 관련된 옵션 중 하나로 본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테이블에 대한 백업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현 시점부터 35일 이내라면 어느 시점으로도 복구가 가능하다. 본 옵션 활성 여부는 테이블 퍼포먼스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ITR 비용 공식 문서 : https://aws.amazon.com/dynamodb/pricing/provisioned/?nc1=h_ls Feature What it does Billing unit (Oregon) Continuous backup Takes continuous backups for the prec.. 애자일 스크럼 - 스프린트 플래닝, 구글 시트 & 지라 연동 자동화 Google Sheets 와 Jira API를 연동하여 각 스토리를 만드는 지루한 일을 자동화 할 수 있다. 기존 스토리를 참고하여 손으로 직접 만든 스토리와 자동화로 만든 스토리의 차이가 없도록 하자. - 스토리 이름 - 서브 스토리 - Summary - Description - Estimate - Assignee - Reporter - Sprint - Epic Link - Components - Labels - Priority - Type : Story, Sub-task 등 위 항목 중 필요에 따라 Google Sheets에 작성한다. Stroy Name Sub Task Summary Assignee Estimate API Migration AWS Resource Park 5h Log & Monito.. 이전 1 2 3 다음